2018-11-08
| ▲ 우리 정상 인니·베트남·필리핀(‘17.11), 베트남(’18.3), 싱가포르·인도(‘18.7) 양자 방문 / 필리핀 대통령(‘18.6), 인니 대통령(‘18.9) 방한 접수 |
| ▲ (자동차) 기아차-인도 30만대 규모 완성차 공장 ’17년 착공(’19.하반기 양산) ▲ (철강) 포스코-인니 열연공장 추가 건설(’16.8~’20.상반기) ▲ (석유화학) 롯데케미칼-인니 석유화학 플랜트 건설(30억불, ’20년 착공) |
| ▲ (기술지원) 베트남 TASK센터(애로기술지원, ’19), 중소기업기술교류센터(인도네시아, ’18.4/ 인도, ’18.7/ 태국‧말레이시아, ’19) ▲ (스타트업) ‘코리아스타트업센터’ 설치 추진(인도‧싱가포르, ’19년 예정) ▲ (민간펀드) 한-인니 민간VC 공동펀드 조성(75백만불, ’17.12), 인니 핀테크‧물류 2개 기업 투자 |
| ▲ (농식품) 신선농산물 집중육성으로 對아세안 신선농산물 수출이 전년대비 40.2% 상승(’18.9.) ▲ (제약) 국내 제약업체 9개(대웅‧일동‧광동제약 등)의 베트남 현지법인 설립(~’18.) |
| ▲ (R&D) 한-인도 공동R&D‧인력교류 위한 미래전략그룹 설립 합의(’18.7월), 한-싱가포르 혁신기술협력 MOU 체결(’18.7월) ▲ (연구기관) V-KIST ’18.3월 착공(’20.하반기 완공), 한-인도 연구혁신협력센터 공동설립 합의(’18.7월, ’19년 뉴델리 설립) |
| ▲ 「롱탄 신공항 기본계획」(’18.3 베트남 국빈방문 계기), 「뭄바이 남부해안도로」 (’18.7 한-인도 정상회담 계기) 등에 우리기업이 신규 수주에 성공 |
| ▲ 8번국도 개량협력(라오스), 코타키나발루 신도시 개발(말레이시아), 양곤 도시 고속도로 개발 협력(미얀마), 두마게테 신공항 개발협력(필리핀) 등 |
| ▲ 한-태국 수교 60주년 계기 한국문화관광대전(태국 방콕, ’18.10), 동남아 2선 도시 한국문화관광대전(인니 수라바야, ’18.3) 개최, 국내 할랄 레스토랑 위크 개최(’18.8.-10.), 의료‧드라마촬영지‧동계스키 등 한류 관광상품 개발‧판촉 ▲ 비자 완화 : 베트남‧필리핀‧인니 복수비자 대상 확대 및 서류 간소화(’18.1.), 비자신청센터(베트남, 인니) 운영기관 선정(‘18.10.) |
| ▲ 아세안 출신 유학생 증가 : ’17년 19,968명 → ‘18년 32,574명 ▲ ’18.4월기준, 전체 외국인 유학생(142,205명) 중 아세안 유학생은 23% 수준 |
| ◇ 사람 공동체 : 교류 증대를 통한 상호 이해 증진 * 성과지표 : 2020년까지 한-아세안 상호방문객 연간 1,500만명 달성 ☞ 추진과제 : ① 상호 방문객 확대, ② 쌍방향 문화교류 확대, ③ 인적 자원 역량 강화 지원, ④ 공공행정 역량강화 등 거버넌스 증진 기여, ⑤ 상호 체류 국민의 권익 보호․증진, ⑥ 삶의 질 개선 지원 |
| ◇ 상생번영 공동체 : 호혜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상생의 경제협력 기반 구축 * 성과지표 : 한-아세안 2020년 교역액 2,000억불, 한-인도 2030년 교역액 500억불 ☞ 추진과제 : ① 무역·투자 증진을 위한 제도적 기반 강화, ② 연계성 증진을 위한 인프라 개발 참여, ③ 중소기업 등 시장진출 지원, ④ 신산업 및 스마트 협력을 통한 혁신 성장 역량 제고, ⑤ 국별 맞춤형 협력모델 개발 |
| ◇ 평화 공동체 : 평화롭고 안전한 역내 안보환경 구축 ☞ 추진과제 : ① 정상 및 고위급 교류 활성화, ② 한반도 평화 번영을 위한 협력 강화, ③ 국방․방산 협력 확대, ④ 역내 테러·사이버·해양 안보 공동대응, ⑤ 역내 긴급사태 대응역량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