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남방정책플러스

신남방정책플러스 추진 배경 및 의의

추진배경

그간 성과 점검,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인한 대내외 정책환경 변화, 신남방 국가들의 새로운
협력 수요 등을 반영하여 정책을 업그레이드할 필요성이 생겼습니다.

  • 01코로나19 대응 보건의료 협력 수요 증대 및 비대면 등 새로운 협력 방식 부상
  • 02보호무역주의 심화, 물자·인력 이동 중단 등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재편
  • 035G, AI 등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촉진 및디지털 격차 확대
  • 04특히, 신남방 국가들도 코로나19 대응, 국민의 삶의 질 향상, 지속가능한 성장 등에 대한 수요 증가

의의

‘사람 중심의 평화와 번영의 공동체’라는 신남방정책 비전 실현을 위해
신남방 국가들과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한 협력 파트너십을 강화합니다.

변화된 환경과 수요 반영

3년 경과 시점에서 코로나19로 인한 변화된 국제환경 및 협력 수요를
반영하여 기존 신남방정책을 한 단계 고도화

신남방 국가들과 전략적 협력 증진

G2 갈등의 격화,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을 고려하여
신남방 국가들과 전략적 협력 증진

소프트파워 활용

한류, 디지털, K-방역 등 우리의 소프트 파워(개방성·투명성·민주주의)를
활용하여 ‘사람 중심의 신남방정책’ 모멘텀 제고

선택과 집중으로 효율화

3년 성과를 기반으로 다양한 협력사업들을 정상회의 합의사항 등을
고려하여 7대 전략방향(이니셔티브)으로 업그레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