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웹사이트는 제19대 대통령 임기 종료에 따라 대통령기록관이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해 이관받아 서비스하는 대통령기록물입니다. 자료의 열람만 가능하며 수정 · 추가 · 삭제는 불가능합니다.

다만,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하여 개인의 정보를 보호받기 원하시는 분은 관련 내용(요청자, 요청내용, 연락처, 글위치)을 대통령 웹기록물 담당자(044-211-2253)에게 요청해 주시면 신속히 검토하여 조치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 그만 보기]
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웹사이트는 국민의 알권리 보장을 위해 대통령기록관에서 보존·서비스하고 있는 대통령기록물입니다.
This Website is the Presidential Records maintained and serviced by the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to ensure the people's right to know.

공지사항

[국.기.자 이야기] 자문회의 심의회의를 소개합니다! 자심소 3탄: 협의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심의회의를 알아보는 세번째 시간! 오늘은 심의회의 산하위원회 중 협의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협의회는 지방과학기술진흥협의회기초연구진흥협의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럼 두 개의 협의회의 역할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지방과학기술진흥협의회


2018 지방과학기술진흥협의회 워크숍 단체사진

지방과학기술진흥협의회는 과기정통부 장관이 지명하는 위원장과 지역적 균형을 고려한 민간 전문가 20명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①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과 시행계획 수립, ② 지방과학기술진흥정책조정 및 심의, ③ 지방과학기술 관련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운영, ④ 지방자체단체 간 과학기술 교류·협력을 통해 지방의 첨단과학기술산업 육성 및 투자를 확대하며 지역의 과학기술 혁신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기초연구진흥협의회

기초연구진흥협의회 역시 과기정통부 장관이 지명하는 위원장과 관련 학회 등의 추천을 받은 기초연구 분야 민간 전문가 20명으로 이루어져 있답니다.

①기초연구 투자 분석 및 정책방향 등에 관한 조정·심의, ②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 사전 심의·조정, ③중앙행정기관 간 기초연구 역할정립 및 중복투자 조정, ④기초연구비관련 정부연구개발예산비율 산정 관련 업무를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전체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집행액과 과제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제1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에서 보고한 <2018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에 따르면 연구자 주도로 자유롭게 주제나 범위를 정해 연구하는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사업'에 전년대비 12.3% 증가한 1조 4,200억원이 집행되었으며 과제 수 역시 1만 7,547개로 6.5% 증가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중소·중견기업과 대학의 기초연구 집행액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고 하니 우리나

라 과학기술 발전에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네요 :)


제 6회 심의회의 의결결과: 2019~2033 국방과학기술진흥정책서

심의회의는 지속적으로 현안을 분석하고 심의·의결하고 있는데요! 지난 <2020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에 이어 제6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에서 심의‧의결한 <2019~2033 국방과학기술진흥정책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18년 국가별 국방과학기술수준 <국방기술품질원 제공>

최근 국방기술품질원이 발표한 <국가별 국방과학기술수준>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국방과학기술수준은 세계 9위이며, 1위인 미국에 비해 80% 수준의 기술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은 K-9 자주포 성능 개량과 155mm 사거리연장탄 개발, 지대공유도무기 개발 등 화력분야에서는 높은 기술 수준을 갖추고 있지만 국방 모델링&시뮬레이션, 국방 소프트웨어(SW) 등 첨단기술을 포함한 기타 분야에서 저조한 수준이었습니다. 지상·해상·항공무인 체계 등 항공 기술 분야(10위)와 자율무인 기반 등 감시·정찰 분야(11위)에서도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아 미래형 첨단무기 체계의 연구개발 노력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출처: 한겨레 이코노미 인사이트 5월호 <한국 국방과학기술 세계 9위… 미국의 80% 수준>


이에 제 6회 심의회의에서 의결한 <2019~2033 국방과학기술진흥정책서>는 국방과학기술 진흥을 위한 중장기 정책과 기술발전 전략을 담고 있습니다.

① 자율·인공지능(AI) 기반 감시정찰, ② 초연결 지능형 지휘통제, ③ 초고속·고위력 정밀타격, ④ 미래형 추진 및 스텔스 기반 플랫폼, ⑤ 유·무인 복합 전투수행, ⑥ 첨단기술 기반 개인전투체계, ⑦ 사이버 능동대응 및 미래형 방호, ⑧ 미래형 첨단 신기술을 국방전략 기술 8대 분야로 선정해 국방과학기술 수준을 2018년 세계 9위 수준에서 2033년 세계 6위 수준으로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문회의 의회의를 개합니다 3탄 잘 보셨나요? 다음 시간에는 4탄! 심의회의 <전문위원회>를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