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웹사이트는 제19대 대통령 임기 종료에 따라 대통령기록관이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해 이관받아 서비스하는 대통령기록물입니다. 자료의 열람만 가능하며 수정 · 추가 · 삭제는 불가능합니다.

다만,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하여 개인의 정보를 보호받기 원하시는 분은 관련 내용(요청자, 요청내용, 연락처, 글위치)을 대통령 웹기록물 담당자(044-211-2253)에게 요청해 주시면 신속히 검토하여 조치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 그만 보기]
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웹사이트는 국민의 알권리 보장을 위해 대통령기록관에서 보존·서비스하고 있는 대통령기록물입니다.
This Website is the Presidential Records maintained and serviced by the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to ensure the people's right to know.

공지사항

[국.기.자 이야기] 문재인 정부 출범 2년, 과학기술 분야 성과는?

오는 5월 10일이면 #문재인정부 #출범2주년 을 맞이합니다. 지난 2년동안 여러 분야에서 많은 성과들이 있었는데요. R&D 예산이 사상 처음으로 20조원을 돌파하는 등 #과학기술 분야도 예외는 아닙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와 함께 한 지난 2년간의 과학기술 분야 성과들을 한 번 살펴 볼까요?

자문회의의 지난 2년간 활동들

지난 2년간 #자문회의 는 매우 바빴답니다. 얼마나 열심히 일을 했는지 개최된 회의들을 분석해봤습니다.

 

전원회의 및 자문회의 9회

소위원회, 간담회 및 워크숍 등 30회

의제 별 전문가 및 실무회의 70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8회 자문회의 현장

확인 결과 정말 많은 회의들이 있었는데요. 뿐만 아니라 열린토론회, 국민대토론회, 발달장애 현장토론회 등 여러 토론회와 #미세먼지 관련 국립환경과학원 방문, #과학문화 관련 부산과학과 방문, 대학 및 학회 R&D 현장의견 청취, 도전적 연구 관련 애로사항 수렴 등 여러 활동들이 있었답니다.

이런 활동들을 바탕으로 많은 성과들을 창출할 수 있었는데요. 지금까지의 성과들을 자세히 살펴볼게요.

과학기술 혁신 컨트롤타워 강화

앞서 말씀 드린 것처럼 올해 정부의 R&D 예산이 20조원을 넘어섰습니다. 이로서 우리나라의 R&D 투자 비중은 세계 최고 수준이 됐습니다.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컨트롤타워 강화 ⓒ게티이미지뱅크, All rights Reserved.

정부는 R&D 혁신의 중심에 #국민 과 #연구자 가 있다는 기본 인식 아래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18~’22년)을 수립했는데요. 이 계획에 따라 지난해에는 ‘국가연구개발 혁신방안’을 수립 및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복원하며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컨트롤타워 를 강화했습니다. 이를 통해 선도형 R&D 시스템 혁신을 위한 정책 기틀과 이행체제를 구축한 거죠.

올해는 지난해 이룬 성과들을 바탕으로 정책과 사업의 구체적인 실행을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 강화된 컨트롤타워를 통해 얼마나 많은 성과를 창출 할 수 있을지 지켜봐 주세요.

 

국민 체감형 성과 톡톡

과학기술에 대한 기대가 경제성장을 넘어 국민 삶의 질 제고로 확장되면서 과학기술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 역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건강 #안전 #환경 등 국민들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사회문제 해결과 관련된 R&D 투자를 대폭 늘렸습니다. 지난 2016년 9,245억원 이었던 데 비해 2018년에는 1조1,754억원으로 무려 2,509억원이 늘어난 거죠.

 


연구소 기업 설립을 지원하는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또한 그간의 #연구소기업 설립 활성화 노력을 통해 2018년 말 기준 총 704개의 #연구소 기업이 설립됐고 이를 통해 2,733개의 일자리가 새로 만들어졌습니다.

 

정부출연연구기관과 대학 등 공공연구기관들이 보유한 연구 성과물을 사업화하는 연구소 기업이 중소 및 #벤처기업 들의 신 #성장동력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정부가 추진중인 과학기술기반 #일자리 창출에도 큰 몫을 하고 있는 거죠.

 

이와 함께 우수 공공기술과 민간 경영능력을 결합한 차세대 연구소 기업들도 속속 등장해 성공사례는 더욱 늘어날 전망입니다.

 

 

R&D 행정의 효율화

사실 지금까지 연구현장에서는 과도하고 복잡한 행정 요구와 기관 별로 각기 다른 행정 시스템으로 인해 연구자에게 많은 행정 부담을 줄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로 인해 연구자들의 연구몰입을 방해한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됐었죠.


R&D 행정효율화 방안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각 부처가 개별적으로 운영하던 17개 연구비 관리시스템을 2개로 통합했습니다. 현재는 20개 전문기관의 연구 관련 시스템 또한 하나로 통합하는 작업을 추진 중입니다.

 

아울러 약 189만명의 연구자 정보도 하나의 연구자 정보시스템으로 통합합니다. 이게 끝이 아닙니다. 정부는 과제지원, 연구비관리, 연구자정보시스템 3가지를 로그인 한 번에 접속할 수 있는 포털을 만든다는 계획도 갖고 있습니다. #포털 이 완성되면 하나의 사이트에서 모든 연구관련 업무 수행이 가능해지는 거죠.

 

이처럼 부처 간 #연구개발 칸막이를 제거하고 연구자 중심의 #연구환경 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겠습니다.

 

R&D 규제, 제도 개선 및 지속가능 과학기술 시스템 혁신


혁신을 막는 낡은 R&D 규제를 연구자 중심으로 개편 ⓒ디지털데일리, All rights Reserved.

지난 20년간 R&D 규모가 양적 질적 모두 성장을 이뤘고 국내외 제반 환경도 크게 변했지만 R&D #관리법규 는 크게 바뀌지 않았습니다.

 

이에 정부는 ‘국가 R&D분야 규제혁파방안’을 마련해 행정인력 인건비가 연구직접비에서 사용되도록 하고, 연구과제의 다년도 협약 체결과 집행 잔액의 이월 사용도 허용하는 등 연구자가 연구에만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부처별로 다르게 운용되고 있는 R&D 사업 관리 규정을 통합, 체계화 하는 ‘국가연구개발 혁신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통해 R&D 행정 효율화, R&D 규제 개선도 추진할 계획입니다.


지난해 7월 개최된 제1회 전원회의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 은 "지난 1년간 과학입국을 더 살리기 위해 자문위원들이 많이 애써 주셨다. 과학기술 관련 법제도를 정비하고, 추진체계를 개편했다"라며 "과학기술혁신본부를 신설하고, 자문회의도 자문-심의기구를 통합해 정책 결정과 예산 배분의 컨트롤 타워를 거뜬하게 세웠다"라며 그간 관계자들의 노고를 치하했습니다.

앞으로도 정부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R&D 20조원 시대에 걸맞은 자율과 책임의 국가 R&D 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현장과 끊임없이 소통하고 정책적 지원과 노력을 아끼지 않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