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웹사이트는 국민의 알권리 보장을 위해 대통령기록관에서 보존·서비스하고 있는 대통령기록물입니다.
This Website is the Presidential Records maintained and serviced by the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to ensure the people's right to know.

대통령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위원장
정 현 찬
생년월일

1948. 7. 1

출신지

경남 진주시

경력사항
 1986~1987 

가톨릭농민회 마산교구(경남)연합회 회장

 1990~1994 

전국농민회총연맹 진주시 농민회장

 2000~2001 

전국농민회총연맹 부의장

 2002~2003 

전국농민회총연맹 의장

 2007~2012 

(주)진주시민버스 대표

 2010~2013 

가톨릭농민회 마산교구연합회 회장

 2014~2017 

가톨릭농민회 전국본부 회장

 2014~2017 

사)우리농촌살리기운동본부 공동대표

 2015.3~2016.3 

국민과 함께하는 농민의길 상임대표

 2015.11~2016.9 

백남기 농민 범국민대책위원회 상임대표

 2017~2018 

농식품부 농정개혁위원회 공동 위원장

 2019~ 

생명평화일꾼 백남기 농민 기념사업회 이사장

위 사람은 농민운동에 투신하여 가톨릭농민회 전국회장, 우리농촌살리기운동본부 공동대표, 전국농민회총연맹 의장, 농민의 길 상임대표, 진주시민버스 대표, 농림축산식품부 농정개혁위원회 공동위원장 등을 역임하면서 농민의 권익보호와 식량주권 수호, 우리 농업·농촌 살리기, 농협개혁에 헌신함으로써 우리 농업·농촌의 유지 발전과 민주주의에 큰 기여를 하였음.

1. 가톨릭농민회 회장(2014~2017)

(생명농업, 친환경농업의 확산, 도농교류 등)

가톨릭농민회는 60년대 창립하여 70년대 소작실태조사활동, 쌀생산비 조사활동, 함평고구마사건 해결, 80년대 부당농지세 시정운동, 농협민주화운동, 농가부채해결운동, 농산물 제값받기운동, 90년대 도농공동체운동을 통한 우리농촌살리기운동, 2000년대 식량주권 수호 운동, 2020년 ‘스스로를 살리고 땅을 살리고 농업을 살리고 뭇 생명을 살리는 생명농업 생명공동체 운동의 생활화에 헌신적으로 활동을 해왔다.

80년대 초 비닐하우스 농사를 하면서 을류 농지세가 엄청나 농지세가 부당하다 생각해서 혼자서 가톨릭농민회가 하는 교육을 받고 부당 농지세 시정, 거부운동에 참여하면서 농민운동에 투신 하였으며 가톨릭농민회 마산교구연합회 5대, 17대, 18대 회장을 역임하고 가톨릭농민회 24대, 25대 전국회장으로 활동을 해왔다.

2. 진주시민버스 대표(2017 ~ 2012)

(133일 파업 딛고 노동자 기업 부르릉 대표이사)

신일교통(진주)은 밀린 임금 13억3천만 원 등 65억원의 빚을 감당하지 못해 최종 부도처리 후 파업 133일 만인 2006년 12월 회사 문을 열었다. 이 과정에서 노동자 자주관리 기업 진주시민버스 ㈜가 탄생과 경영 정상화에 앞장섰다. 자주관리위원회, 경영지원단, 노조, 시민단체 의견수렴과 합의를 이끌어 내는데 헌신하여 진주시민버스 대표이사로 추대 되었다.

3. 국민과 함께하는 농민의 길 상임대표(2015 ~ 2016)

농정개혁위원회 공동위원장(2017 ~ 2018)

백남기 농민 범국민대책위 상임대표(2015 ~ 2016)

(농업문제를 비롯한 농민인권의 국민적 인식제고, 백남기 농민을 죽음으로 몰고 간 국가폭력에 항거하는 중심적 역할을 함.)

2014년 2월 가톨릭농민회 회장으로 피선되어 2018년 2월까지 활동하면서 가톨릭농민회 회장으로서 뿐만 아니라 농민의 길 상임대표로서 한국농정의 대안을 제시에 매진하였고, 2017년 8월 농림축산식품부 농정개혁위원회 공동 위원장으로서 농정개혁을 위한 농정, 식량, 축산 3개 분과와 실무기획단을 구성하였고 9개도 지역별 공청회를 통한 현장소통강화 및 개혁과제를 발굴하여 현장농정 안건 196개를 농식품부가 바로 해결할 수 있는 것, 국회 입법을 통해 할 수 있는 것, 대통령이 정치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것 등을 과제 별로 분류하고 정리하여 대책을 마련하였다.

‘사람’ 중심의 농정 구현, 지속가능한 농업‧농촌 구현 등의 농정 패러다임을 전환시켜 헌법 개정안에 농어업의 공익적 기능을 명시하여 농업의 중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확산에 기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