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폐청산에서
제도화로의 진전
문재인 정부에 대한 평가는 3개의 단계로 구분하는 것이 편리하다. 집권 초반에 해당하는 1기(2017.5~2019.12)는 정부 출범부터 공수처법과 선거법 개정안이 여야의 격한 대립 속에 통과되었던 2019년 연말까지의 시기이다. 코로나19와 21대 총선으로 상징되는 집권 2기(2020.1~2021.4)는 서울시장과 부산시장의 보궐선거까지의 시기이다. 임기 말에 해당하는 집권 3기(2021.5~2022.5)는 현재부터 새로운 정부가 출범하는 내년 5월까지의 시기로 볼 수 있다.
1기(2017.5~2019.12)는 사회 각 영역의 잘못된 관행과 제도를 개선하는데 주력하였던 ‘적폐청산’의 시기였다. 대표적으로는 최순실 등 국정농단 관련자에 대한 엄정한 기소가 이루어졌다. 최순실 등 45명을 기소하여 1심에서 전원 유죄가 선고되었는데, 특히 두 전직 대통령에 대한 법적 처리가 확정되었다. 대법원은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 뇌물수수와 횡령 혐의로 징역 17년과 벌금 130억 원을 선고하였고(2020.10.29.),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는 3년 9개월 만에 징역 20년, 벌금 180억 원을 선고하였다(2021.1.14.). 이 밖에도 정부 출범 직후 국정 역사 교과서를 폐지하였고(2017.5), 문화계 블랙리스트 진상 규명과 수사가 이루어졌다(2018.12). 한편에서는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의 본격적인 조사 활동이 전개되었고, ‘제주 4·3사건 희생자·유족 명예 회복 활동 및 기념사업’이 추진되었다. 제주 4·3사건의 경우 현재까지(6차 누계, 2018~2020) 총 21,696명의 희생자·유족에 대한 심사·결정을 완료하였다.
2기(2020.1~2021.4)는 코로나19에 대한 적극적 방역, 소위 K-방역과 검찰과 경찰 등 권력기관에 대한 개혁에 역점을 두었던 시기이다. 1기가 과거의 정책과 인물을 정리하는 ‘적폐청산’의 시기였다면 2기는 입법 마련에 역점을 둔 ‘제도화의 시기’라는 차이가 있다. 문재인 정부는 ‘국민의, 국민을 위한 권력기관 개혁’을 표방하면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립을 위해 국회법, 인사청문회법, 국회 규칙을 제·개정하였다(2020.8). 한편으로는 수사권 개혁을 위한 검·경 수사권 조정을 위하여 형사소송법·검찰청법을 개정하였고(2020.1), 경찰 업무를 국가경찰 사무-자치경찰 사무-국가수사본부로 규정한 경찰법을 개정하였다(2020.12). 같은 맥락에서 국정원의 국내정치 개입 차단을 명문화한 국정원법을 개정(2020.12)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입법을 통해 마침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출범하였고(2021.1), 자치경찰제가 도입되었으며, 국정원의 정치적 중립의 기반이 확보되었다.
지난 21대 총선에서 여당의 압도적인 승리는 개혁에 대한 여망과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긍정 평가에 기인한 것이었다. 문재인 정부는 개방성, 투명성, 민주성 등 K-방역의 3대 원칙을 내걸고 ‘검사-추적-치료-신뢰’라는 4T(Test-Trace-Treatment-Trust)를 신속히 체계화하여 실행하였다. K-방역은 정부와 방역 당국의 체계적인 관리, 의료 종사자와 자원봉사자들의 헌신, 시민들의 자발적 협력 등이 어우러져 이루어 낸 성과라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다수 의석을 차지한 정부와 여당은 소득·재산과 상관없이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한 1차 재난 지원금(2020.5)부터 최근의 소상공인 및 고용 취약 계층을 위한 4차 재난 지원금(2021.4)까지 여야 합의로 적극 재정 정책을 주도하였다. 문재인 정부의 적극 재정 정책은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정규직 전환에서도 잘 드러났다. 공공기관의 정규직 전환 완료 인원은 2021년 1월 현재 9만 5천 명으로 목표 인원 10만 4천 명 대비 91.4% 수준으로 차질 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1987년 민주화 이후 현재까지 권력형 부패와 친인척을 비롯한 측근 비리가 터지지 않은 유일한 정부이다. 거기에는 국민의 높아진 도덕적 기준과 더불어 대통령이 주도하였던 범정부 반부패 체계 구축이 한몫했다고 볼 수 있다. 대통령이 주재하는 ‘반부패정책협의회’가 주기적으로 열려 범정부 차원의 반부패 협력이 제도화되었고, 최근에는 공직자의 직무수행 중 부당한 사익추구 행위를 근절하기 위한 ‘공직자의 이해충돌방지법’이 국회를 통과하였다(2021.4.29.). 이를 반영하듯 국제투명성기구(TI)가 2021년 1월에 발표한 부패인식지수(CPI)는 역대 최고 성적인 61점으로 33위를 차지하였다. 또한 언론의 독립성·자율성 강화로 세계언론자유지수 순위도 꾸준히 상승하여, 총 180개국 중 42위로 2년 연속 아시아 1위를 달성하였다.
<표 2> 우리나라 국가청렴도 변동 추이(’08~’20년)
* ’12년부터 100점 만점으로 변경
*출처 : 국민권익위원회
*12년 이전의 지표는 10점 만점이었으나 비교의 편의상 100점 만점 지표로 환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