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63
- 대통령 경호실 창설 (12.17)
- 1968
- 무장공비 청와대 습격 미수 사건 (1.21사태)
- 1971
- 청와대 폭파기도 미수사건

- 1974
- 청와대 폭파기도 미수사건 (재일교포2인 검거)
- 박정희 대통령 시해 미수사건 (육영수여사 저격사건)
- 대통령경호·경비안전대책위원회 설치 (9.11)
- 1979
- 박정희대통령 서거(10.26사건)

- 1981
- 대통령경호실법 개정(제1차)
- "대통령 당선 확정자와 가족의 호위"
- "전직대통령과 배우자, 자녀의 호위"를 임무에 추가
- 1983
- 미안마 아웅산 묘소 폭파사건
- 1987
- 대통령 당선자 경호임무 수행

- 1988
- 전직 대통령 경호임무 수행 (전두환 대통령)
- 대통령 경호업무 협조체제 강화를 위한 기본 지침마련
- 1990
- 대통령 관저 준공 (10.25)
- 1991
- 청와대 본관준공 (9.4), 경호임무 수행체제 변환

- 1993
- 청와대 앞길 및 인왕산 개방등 경호체제 변환
- 경호유관시설 개방 및 무궁화동산 조성
- 1995
- 전두환 전직대통령 경호임무 해제 (경찰청으로 이관)

- 1999
- 교육훈련 강화를 위한 "경호종합 훈련장" 개설
- 2000
- 대통령경호실법 개정(제2차) 정치 적 중립 및 신분보장 강화
- 경호직 공무원 신분을 별정직에서 특정직으로 전환 - 남북정상회담 개최에 따른 평양 방문 경호임무 수행
- 제3차 아시아 유럽정상회의(ASEM) 경호임무 수행

- 2003
- 대통령휴양시설 청남대 반환, 경비 전담부대 임무 해제
- 2004
- 대통령 탄핵에 따른 대통령 권한 대행 경호 임무 수행
- 2005
- 부산 APEC 경호안전 임무수행
- 대통령경호실법 개정(제3차)
- 경호구역 지정 및 경호안전활동 근거 신설

- 2008
- 대통령실 경호처로 전환
-"대통령경호실법" 개정 → "대통령 등의 경호에 관한 법률" 로 변경
- 2009
-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경호임무 수행
- 2010
- '대통령 등의 경호에 관한 법률' 개정(제4차)
- 전직 대통령(10년) 및 배우자(5년) 경호기간 연장 - 제10차 APPS(국제경호책임자총회) 서울 개최
- G20정상회의 경호임무 수행
- 2012
- '대통령 등의 경호에 관한 법률' 개정(제 6차)
- 다자간 정상회의의 경호 및 안전관리를 위한 대통령 직속기구 법제화
- 전직 대통령 및 전문.특수분야 경호 경호 및 안전관리를 위한 대통령 직속기구 법제화 도입 - '2012 서울 핵 안보정상회의' 행사 경호

- 2013
- 정부 조직개편에 따라 대통령경호처에서 대통령경호실로 변경
- 대통령 경호실장 장관급 승격
- '대통령 등의 경호에 관한 법률' 개정(제 7차)
- 경호공무원 정년연장(55세→58세)
- 전직대통령과 그 배우자 경호기간 연장(10→15년)
- 2014
-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경호임무수행
- 프란치스코 교황 경호임무수행
- 2015
- 제6차 한중일 정상회의 경호임무수행
- 2016
- 경호안전교육원 개원
- 대통령권한대행 경호임무수행

- 2017
- 정부 조직개편에 따라 대통령경호실에서 대통령경호처로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