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관련 증권사의 '담합식 공매도'에 따른 폐해를 신고합니다.
본문
지난 정권의 무리한 '탈원전 정책'으로 전기세 인상, 국가경쟁력 약화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세계 최상위권 원전 기업들이 타격을 받으며 국가 경쟁력이 크게 떨어졌으며,
두산중공업, 한전기술 등 '국가 원전핵심기업'들이 생존이 어려울 정도로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해당 기업들의 타격이 '시장경쟁에 따른 하락'이 아닌,
'정권의 원전 죽이기'라는 기조 아래에서 행해진 '정권 눈치보기'식 공매도에 따른 결과라는 것입니다.
이를 한마디로 정의한다면, 사실상의 '정경유착'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즉, 정책자들의 정치적 이득과 금융사들의 공매도가 결합된 '비정상적 시장'인 것입니다.
이러한 결과로, 멀쩡했던 원전산업은 불과 5년만에 사실상 거의 붕괴직전에 처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피해는 전기세 인상과 우리 미래세대들의 먹거리 상실이라는 큰 잘못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지적하고 싶은 것은 우리나라의 금투/증권사들의 공매도 실태입니다.
금투/증권사들은 심각한 정도의 탈원전 공매도를 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이들간의 폐쇄적 정보공유 및 돌려막기식 '독점적 공매도'를 하였으며,
이에 국가 에너지 백년대계와 미래를 보고 온 여타투자자 및 개인들의 피해가 심각한 실정입니다.
예를 들어, 두산중공업만 해도 매일 주식거래량의 15%이상의 공매도로 기업의 실제 가치를 부식시키고 있습니다.
과연 두산중공업이 지난 정권시기 2천원까지 떨어지고, 또 현재는 많은 호재와 미래가치에도 불구하고
우리 주식시장 공매도 1위라는 사실을 진정, '부실기업 판별'이라는 공매도 본연의 기능이라 할 수 있을까요?
혹은 단순히 한 기업의 '경영상 문제'에 따른 단순 증권시장의 문제로 볼 수 있을까요?
아닐 것입니다...
이는 지난정부의 '탈원전' 정책의 기조하에서 금융투자/증권사간의 정보공유, 정권눈치보기로 행해진 것,
즉, "지난정권-금융기업간 원전기업 죽이기 카르텔"로 보는 것이 합당합니다.
이는 분명 정상적인 시장거래과정이 아니며, 잘못된 정책과 증권사의 카르텔에 의한 '시장제도 훼손'이자,
원전을 통한 값싼 전기로 민생 안정과 산업활성화를 추구하는 국가 에너지체계의 근간을 흔드는 '국익훼손 행위'입니다.
더욱이, 이러한 공매도의 시작과 그 과정이 '탈원전'이라는 '잘못된 정책 의도'에서 비롯되었고,
지난 정권과 결탁한 금융사들이 이를 악용, 국가 성장동력을 잠식시키고 있다는 사실은 '미래세대에 대한 대죄'입니다
이에 차기 정부에서는 잘못된 탈원전 정책뿐만 아니라,
돌려막기식 '독점적 담합'에 따른 금융사의 '무분별한 공매도 제도 개선'에 대한 일차적 과제뿐만 아니라,
지난 정권의 과오와 현재까지도 미래세대의 발목을 잡고있는 '탈원전 공매도'에 대한 엄정한 조사를 부탁드립니다.
금융감독원, 공정거래위, 검찰 증권합수단의 철저한 수사를 통해 '국익 훼손행위'에 대한 수사를 요청드립니다.
물론, 현재의 증권사/외국인들의 공매도 상환기환 무제한에 따른 주식시장 왜곡 또한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문제입니다.
더 나아가, 당선인님께서 '원전 복원'에 대한 대한 '비전과 의지'를, 그리고 '탈원전 과오에 대한 응당한 책임'에
대한 의견을 밝혀주신다면 국민으로서 더욱 감사드릴 것입니다.
이상으로 주주라는 개인적 욕심이 없다면 거짓이겠지만, 이 투자를 결정하게 된 진짜 의도인
대한민국의 에너지 백년대계가 흔들리지 않고, 더 부강하고 멋진 나라가 만들어지길 희망합니다.
'빛이 꺼지지 않는 대한민국을 만들어 주십시요'
차기 정권의 '빛나는' 미래를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이상의 내용과 관련해, 현재 개인원전 주주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중입니다.
약 원전기업 주주 400명이 응답한 조사 결과,
"지난 정권과 결탁해 국내 원전산업을 붕괴시킨 최악의 공매도 기업"으로
1위 신한금융투자증권(70%), 2위 한국투자 증권(20%)로 조사되었습니다.
*5월초 최종 1000여명의 조사결과를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