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제동원희생자 보상문제 2
본문
일제강제징병희생자 보상문제입니다.
1965년 한국과 일본의 국교정상화와 함께 '한일 청구권협정'이 체결되여 강제징병희생자문제를 합의해 주고 무상3억불을 정부가 수령합니다.
'대한민국과 일본국간 재산및 청구권에 관한 문제의 경제협력에 관한 협정에 대한 합의의사록 (1) ' 제2조 ㅎG항 - 완전히 그리고 최종적으로 해결된 것으로
되는 양국 및 그 국민간에 관한 문제에는 한일회담에서 한국 측으로 부터 제출된 한국의 대일청구8개항에 관하여는 어떠한 주장도 할 수 없게 됨을 확인하였다" 라고 규정함.
그러고 무상3억불을 정부가 수령함.
그러나 박정희대통령은 이 돈으로 경제개발에 투자 하여 포항제철공장, 경부고속도로, 소양감 댐 등을 건설하여 '보릿고개'를 없애고 '한강의 기적'을 이뤄
오늘날 선진국이 되는데 기여했다. 박정희 대통령은 국민의 존경을 받고 있으나 반대로 무상 3억불의 주인인 일제강제징병희생자 유족은 멸망의 길을 가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가 전 세계 어느곳에 있는가?
정부는 1965년 청구권자금 무상 3억불을 현재 한국의 화폐로 환산하여 피해자들에게 돌려줄 것을 강력하게 요청한다.
제주 4 3 사건에는 정부 고위층이 참석하고 있으나 이 나라 경제발전에 기여한 일제강제징병희생자 유족문제는 외면 방치하고 있다.
분하고 원통하다. 누구의 돈으로 국가가 발전했는데 이런 경우가 있나. 분하고 원통하다. 분하고 원통하다.
대한민국은 일제강제징병희생자의 목숨 값 청구권자금 무상3억불로 발전한 나라이다.
우리 아버지 목숨 값으로 발전한 대한민국이 우리에게 멸망의 길로 가라고 창을 던지고 있다
분하고 원통하다
1965년 우리나라 예산 848억원, 이 중에 3분의 1은 미국원조(대충자금) 입니다.
무상3억불은 당시 환율 1$ - 271,1원으로 환산하면 813억원으로 우리나라 1년 예산과 비슷하다.
금년 우리나라 예산은 607조원, 1965년의 예산과 비교하면 몇배인가?
이 돈으로 경제개발하여 국가가 발전한 것이다. (청구권자금백서)
첨부파일
-
국무조정실보도자료1.hwpx (98.7K)
0회 다운로드 | DATE : 2022-04-02 16:4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