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교육을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중심으로 배울수 있게 해주세요
본문
1. 기존 교육과정의 문제점
첫 번째. 현재 초중고등학교 교과과정을 보면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등의 과목에 치중되어있음
두 번째. 이런 교과목은 입시 위주의 교과목으로, 너무 이론적이고 실생활과 크게 관련이 없음
세 번째. 학생들이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과목을 중심으로만 배운다면 사회에 진출했을 경우 진로문제로 크게 고민할수 밖에 없음
2. 교과과정 개편의 필요성
첫 번째. 자본주의 시장경제에 관한 경험과 이해가 필요함
두 번째. 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할때 시장경제 관한 이해와 경험이 있으
면 진로선택에 대한 시행착오를 줄일수 있음
세 번째. 경제경험을 통해 스스로 소득을 창출하는 방법을 배우게되면,
청년들의 소득증대로 청년빈곤, 취업문제, 청년주거문제, 저출산문제
등 여러 사회문제를 해소할 수 있음
3. 제안내용
첫 번째. 실생활과 깊이 연관있는 내용을 교과목으로 채택한다.
- 생활법률 : 월세계약, 전세계약, 매매계약과 같은 부동산 거래에 관
한 내용과 방법을 교과목에 포함, 보험계약 상해시 보상에 관한 내
용 등 실생활에 활용 되는 생활법률 전반을 포함한다.
- 경제상식 : 기존의 사회탐구과목 처럼 이론적인 과목이 아니라 경제
경험을 포함한다. ex) 부동산 경매방법 및 시장분석, 온라인(스마트
스토어)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방법, 수요와 공급에 대한 기본개념, ,
특정 경제 이슈가 있을경우 이에 관한 토론
- 증권투자 : 예적금, 주식, 채권, ETF 등 금융교육과 더불어 증권투자
에 관한 이론(내용)을 배운다. 또한, 직접 증권투자를 통해 투자소득
을 얻는 방법을 실무로 배운다.
- 영어 : 회화위주의 영어공부로 비즈니스에 관한 내용도 포함이 된다
- 반공교육 : 대북관, 안보교육, 운동권 출신 정치인들을 몰아내야 하
는 합리적인 이유, 공산주의, 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가 허황된 이유,
공산국가에 대한 적개심을 교육한다.
두 번째. 상업교육 의무화에 관한 내용
- 재무회계, 원가회계와 같은 회계과목을 필수로 한다.
- 경제관념을 기를수 있는 교과과정 : 화폐경제학, 기업가정신, 시장경
제 등
- 경제경험을 할 수 있는 교과과정 : 이는 학생들이 시장에 직접 상품
및 서비스를 판매함으로써 경제경험을 체험할 수 있다.
1) 스마트스토어로 위탁판매를 할 수 있게 교육을 한다.
(1) 상품명 만드는 방법
(2) 상세페이지 작성법 및 시각화 디자인
(3) 온라인 마케팅 및 브랜딩에 관한 수업
(4) 판매전략에 대한 1:1 코칭
2) 음악, 유튜브 콘텐츠, 웹툰 등 다른 분야에 두각을 보이는 학생들
을 위한 제품 및 서비스 판매교육
내용 :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재능을 시장에 제품과 서비스로써 판매할 수 있게 이끌어 준다.
- 예컨데 음악의 경우 고전음악만 있는게 아니고, 여러 대중음악 게임음악 등 여러 시장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려줌(세분화 되어있는 음악시장)
- 세분화 되어있는 시장에서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분야를 선택하게 함.
- 선택한 시장에 적합한 상품 및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게 교육함.
- 개발한 상품 및 서비스를 판매할 수 있는 기본교육을 진행하게 함
(1) 판매전략, 마케팅, 브랜딩 전략
(2) 시장조사
(3) 원가회계에 관한 심도있는 교육 - 제품 및 서비스를 개발하게 된다면, 적정한 가격을 설정할 수 있게끔 함
세 번째. 직업교육에 관한 내용
- 교과과정의 경우 전문대학 체계를 따른다.
- 하지만, 기존의 전문대학의 경우 보통 취업을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
하기 위한 기관이다.
- 본 내용에서 이야기 하는 직업교육의 경우 창업과 취업 두가지 트랙
을 큰 틀로 교육을 진행하게 된다.
- 창업 트렉의 경우 상업교육과 연계되어 교육과정이 이어지게 된다.
(1) 예컨데, 요리/조리분야의 경우 개인이 식당을 창업할수 있게 하
거나, 레시피를 개발하여 타회사에 OEM으로 제품을 생산하여
시장에 판매하는 내용이 포함되어있음
(2) 창업을 위해 자본금이 필요한데, 당장 취업을 하더라도 투잡으로
스몰비즈스를 하는 방법도 교과과정에 포함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