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제1외곽순환고속도로에 2층전용버스 도입
본문
-대한민국은 인구의 절반이 서울과 경기권에 거주하고 있으모 많은 교통량으로 엄청난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교통지정체로 인한 사회적비용과 신규고속도로 건설로인한 엄청난 재원이 소요되고 있다
-수도권 제1순환도로는 현재 가천대, 시흥하늘 휴게소 , 성남, 의왕청계영업소등에 버스 환승이 가능하다
-지하철은 9개노선이 운영중이고 도시철도가 운영중이고 신규 추진되고 있음
-위례,하남,강일,평촌, 왕숙,부천대장,김포,일산,광명,의정부,고양,양주등에 신도시가 건설되었고 추가 계획중이다
-기존 수도권 제1순환도로와 기존 지하철이 교차하는 지역은 복정역, 거여역,강일역,구리역 ,별내역,별래별가람역,대곡역,고촌역,송내역등이 교차하고 박촌역 시흥대아역,신분당선,금정역,원당역등은 약2~3km정도 이격되어 위치함
2.문제점
-기존의 외곽을 연결하는 좌석버스 및 심야버스는 도심지를 관통하고 도심지내 이동으로 많은 시간 소요
-대형버스로 인한 체증 유발 및 교통소음 증가(소형차 대비 10배)
-소음 및 미세먼지로 인한 국민건강 불량
-신규 철도 및 고속도로 비용은 환경파괴 및 엄청난 재원 필요
3.해결방안
-기존 지하철등과 연결이 가능한 수도권제1고속도로에 2층버스도입
-고속도로애 가천대 정류장과 같은 시설 추가 설치로 지하철과 버스환승 시스템 도입
-터키 이스탄블과 같은 고속도로에 S-BRT 도입
4.장점
-기존 시설 활용한 수송대책 해소
-지하철 이용증대로으로 인한 환경오염 발생 축소
-신규 SOC사업 축소로 인한 국가재정 효율성 확보
-수도권 집중 배제로 인한 인구분산으로 주택 정책 안정화
-시민의 출퇴근 비용과 시간절약으로 국민건강 및 여가시간 확대 가능
-신도시와 수도권 연계성 강화
-자가용 이용객 감소로 인한 교통 문제 해소
5.설치방안
-수도권 제1고속도로에 버스정류장 신설
-버스전용차로 및 2층버스 신규도입 10~15분간격으로 운행
-버스 사업자에게 인센티브 제공으로 민자사업 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