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웹사이트는 제19대 대통령 임기 종료에 따라 대통령기록관이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해 이관받아 서비스하는 대통령기록물입니다. 자료의 열람만 가능하며 수정 · 추가 · 삭제는 불가능합니다.
다만,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하여 개인의 정보를 보호받기 원하시는 분은 관련 내용(요청자, 요청내용, 연락처, 글위치)을 대통령 웹기록물 담당자(044-211-2253)에게 요청해 주시면 신속히 검토하여 조치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올여름 아주 긴 폭염에 이어서 6년만에 우리 한반도로 상륙한 태풍 솔릭에 대응하느라고 모두들 아주 수고가 많았습니다. 덕분에 비교적 잘 대응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그 노고에 치하 말씀을 드립니다.
그런데 태풍이 또 끝나자마자 곧바로, 오히려 태풍 때보다 더 심한 폭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일부 지역은 태풍 피해를 입은 지역에 설상가상으로 폭우의 피해까지 겹쳐지는 그런 일들이 생겼습니다. 끝까지 긴장을 늦추지 말고 대응하는 데 최선을 다해 주시기 바랍니다.특히 일손이 부족해서 복구를 제대로 못하는 곳도 있는 만큼 태풍과 폭우 피해 복구에 함께 모든 부처가 힘을 모아 만전을 다해 주기 바랍니다.
요즘 우리 정부 경제정책 기조, 특히 소득주도성장에 대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저성장과 양극화의 과거로 되돌아가자는 무조건적 반대가 아니라 우리 경제정책의 부족한 점과 보완 대책을 함께 찾는 생산적 토론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우리 정부 3대 경제정책 기조라고 할 수 있는 소득주도성장, 혁신성장, 공정경제는 반드시 함께 추진되어야 하는 종합세트와 같습니다. 혁신성장은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하는 것이고, 소득주도성장은 잘사는 사람만 잘사는 게 아니고 함께 잘사는, 성장 하자는 것입니다. 지속가능한 성장의 길이기도 합니다.우리는 그 중 하나만을 선택할 수가 없습니다.
또한 혁신성장과 소득주도성장은 공정경제 토대 위에서만 가능합니다.
과거 경제 패러다임은 결국 우리 경제를 저성장의 늪에 빠지게 했고, 극심한 소득 양극화와 함께 불공정 경제를 만들었습니다. 그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사람중심 경제라는 새 패러다임으로 위기에 빠진 우리 경제를 되살려야 하는 것이 우리 정부가 향하는 시대적 사명입니다. 그런 사명감으로 정부는 우리 경제정책 기조를 자신 있게 흔들림 없이 추진해 주기 바랍니다.
물론 우리 경제정책 기조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 수단을 더 다양하게 모색하고, 부족한 점이 있다면 그 사실을 겸허히 받아들이며 보완 대책을 마련하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합니다. 최저임금 인상은 소득주도성장 정책 수단 중 하나일 뿐 전부가 아닙니다. 최저임금 인상은 말 그대로 저임금 노동자의 근로소득을 높여주기 위한 것입니다. 그 목적에서는 이미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실제로 올해 도시근로자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작년보다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근로자외 가구의 소득 증가를 위해서는 별도의 정책들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정부는 소득주도성장을 위해 민간 일자리 증가를 촉진하고, 근로자외 가구의 소득을 높이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함께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미 정부는 기초연금,장애연금 인상, 아동수당 지급, 근로장려금 대폭 인상,기초수당 강화, 자영업자 지원 확대, 생활 SOC 등 다양한 정책을 마련했고, 내년도 예산에 대폭 반영했습니다. 이런 정책 보완이 실현되어 근로자 가구와 근로자외 가구의 소득이 함께 높아질 때 비로소 소득주도성장의 기반이 마련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지난 21일, 노사정위원회 산하 사회안전망개선위원회가 매우 의미 있는 합의를 이뤘습니다. 한국형 실업부조 제도 도입 및 청년 자영업자 지원을 골자로 하는 근로빈곤 대책을 포함해 노인빈곤 대책, 기초생활보장 대책, 사회서비스 강화 대책 등을 추진하기로 합의한 것입니다. 우리 정부 들어 노사정 최초로 이뤄낸 사회적 합의라는 점에서 매우 뜻깊습니다. 이 합의가 실천되면 특히 근로자외 가구의 소득 증가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앞으로 노사정 대표자회의와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서 더 많은 합의가 활발히 이뤄지길 기대합니다. 그러려면 노사정 대표자회의와 경제사회노동위의 사회적 합의에 실질적인 구속력과 실천력을 부여해 주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정부는 사회적 대화의 일원으로서 이번 합의가 실천되도록 적극적으로 뒷받침 해 주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