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웹사이트는 제19대 대통령 임기 종료에 따라 대통령기록관이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해 이관받아 서비스하는 대통령기록물입니다. 자료의 열람만 가능하며 수정 · 추가 · 삭제는 불가능합니다.
다만,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하여 개인의 정보를 보호받기 원하시는 분은 관련 내용(요청자, 요청내용, 연락처, 글위치)을 대통령 웹기록물 담당자(044-211-2253)에게 요청해 주시면 신속히 검토하여 조치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윤영찬 국민소통수석 : 청와대는 오늘 오전 7시 정의용 안보실장 주재로 긴급 NSC 상임위를 열고 북한의 탄도 미사일 도발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NSC 상임위는 국제사회의 엄중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또 다시 탄도 미사일을 발사해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한데 대해 강력히 규탄했습니다.
또 북한 도발이 대단히 엄중한다고 평가하고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에 철저히 대비하여 강화된 경계 태세를 유지하도록 하였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오전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직후 정의용 안보실장으로부터 이 내용을 보고 받고 “강력한 대북 응징 능력을 과시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이에 따라 오늘 오전 9시20분쯤 우리 공군 전투기 F15K 4대가 MK84 폭탄 8발을 태백 필승 사격장에 투하하는 훈련을 실시했습니다.
정의용 안보실장은 NSC 상임위 직후 허버트 맥마스터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전화통화를 하고, 한·미 양국의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맥마스터 보좌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 정책과 한국정부의 북한 도발 대응 조치에 대해 전폭 지지한다”고 전했습니다. 맥마스터 보좌관은 “한국에 대한 미국의 방위공조는 흔들림 없다. 안심하라” 고 말했습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도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과 통화를 했습니다. 틸러슨 장관은 “대화 제의를 했음에도 북한이 미사일 도발을 감행한 사실은 매우 실망스럽다” 고 말했습니다. 양국 장관은 보다 강력한 대북 제재 방안을 강구키로 하고, 이번 미사일 도발을 유엔 안보리에 회부해 논의키로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