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웹사이트는 제19대 대통령 임기 종료에 따라 대통령기록관이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해 이관받아 서비스하는 대통령기록물입니다. 자료의 열람만 가능하며 수정 · 추가 · 삭제는 불가능합니다.
다만,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하여 개인의 정보를 보호받기 원하시는 분은 관련 내용(요청자, 요청내용, 연락처, 글위치)을 대통령 웹기록물 담당자(044-211-2253)에게 요청해 주시면 신속히 검토하여 조치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도발에 따라 대한민국 국방력 강화 필요성에 공감하며 미사일 지침 개정에 원칙 합의했습니다.
두 정상은 1일 밤 11시 10분부터 약 40분 간 전화 통화를 통해 한반도 안보 상황과 대응방안을 협의하면서 이같은 합의에 이르렀습니다.
문 대통령은 이번 북 미사일 발사가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자 역내 긴장을 고조시키는 엄중한 도발이라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우리 공군이 대량응징능력을 과시하는 강력한 대응조치를 취했고, 미국이 전략자산을 신속히 전개하는 등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보여준 것과 더불어 안보리가 유례없이 신속하게 북한 미사일 도발을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하는데 있어 한.미 양국이 긴밀히 공조한데 대해 평가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에 단호하게 대응하면서, 북한에 대해 강력하고 분명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두 정상은 북한에 대해 최대한의 제재와 압박을 가함으로써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고 북한으로 하여금 대화의 장으로 나와 북핵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재확인했습니다. 이를 위해 한.미 동맹, 그리고 한.미.일 3국간 긴밀한 공조를 계속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최근 북 도발 대응. 억지 과정에서 양국 NSC, 외교.군사당국 등을 통한 긴밀한 협의가 지속되어 왔음을 평가하고, 향후 각급 레벨에서 빈번한 접촉을 통해 이러한 긴밀한 공조를 계속해 나가기 했습니다.
두 정상은 또 북한의 도발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대한민국의 국방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 ‘미사일 지침’을 한국측이 희망하는 수준으로 개정한다는 원칙에 합의했습니다. 한편 문 대통령은 13년만의 초강력 허리케인 ‘하비’로 인해 미국 남부지역에 막대한 규모의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발생한 데 대해 심심한 위로의 뜻을 전달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지도력 하에 이번 재난을 조속히 극복할 수 있기를 기원하면서, 피해복구 노력에 동참할 용의를 표명했습니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깊은 사의를 표했습니다.
두 정상은 오는 9월 유엔 총회를 계기로 다시 만나기로 했으며 올 하반기 다자정상회의를 포함, 빈번한 만남과 협의를 통해 한반도 문제를 비롯한 한미 동맹 전반에 대해 긴밀한 전략적 공조와 협의를 지속해 나가기로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