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웹사이트는 제19대 대통령 임기 종료에 따라 대통령기록관이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해 이관받아 서비스하는 대통령기록물입니다. 자료의 열람만 가능하며 수정 · 추가 · 삭제는 불가능합니다.
다만,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하여 개인의 정보를 보호받기 원하시는 분은 관련 내용(요청자, 요청내용, 연락처, 글위치)을 대통령 웹기록물 담당자(044-211-2253)에게 요청해 주시면 신속히 검토하여 조치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박수현 대변인 : 문재인 대통령은 오늘 오전 11시부터 20여분 간 아베 일본 총리와 전화 통화를 갖고,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대한 대응방안을 심도있게 논의하였습니다.
오늘 통화는 지난 8월30일 전화통화 이후 5일 만으로 새 정부 들어 여섯 번째 통화였습니다.
양 정상은 북한의 핵실험은 한국과 일본 양국은 물론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를 무시하고,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는 국제사회의 평화·안전에 대한 심각한 도전으로서, 그 규모와 성격 면에서 과거와는 차원이 다른 엄중한 도발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 하고, 북한의 도발을 강력히 규탄하였습니다.
문 대통령은 금번 핵실험이 과거보다 몇 배 더 강력한 위력을 보였다는 점, 북한 스스로가 ICBM 장착용 수소탄 실험이라고 주장했다는 점에서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이라고 하고, 국제사회와 협력하여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그리고 북한이 절감할 수 있는 강력하고 실제적인 대응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습니다.
양 정상은 한·일 양국과 한·미·일 3국이 긴밀히 공조하면서, 북한에 대해 최고도의 강력한 압박과 제재를 가해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 그 일환으로 우선 보다 더 강력한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를 추진하기로 하였습니다.
문 대통령은 “북한 스스로 대화 테이블로 나올 때까지 더욱 강화해 나가야 한다” 고 강조하였습니다.
오늘 통화에서 양 정상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 대응을 위한 한·일 양국의 공조를 평가하고, 앞으로도 9월초 블라디보스톡에서의 회담을 포함해 각급 수준에서의 긴밀한 소통을 계속해 나가기로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