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웹사이트는 제19대 대통령 임기 종료에 따라 대통령기록관이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해 이관받아 서비스하는 대통령기록물입니다. 자료의 열람만 가능하며 수정 · 추가 · 삭제는 불가능합니다.

다만,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하여 개인의 정보를 보호받기 원하시는 분은 관련 내용(요청자, 요청내용, 연락처, 글위치)을 대통령 웹기록물 담당자(044-211-2253)에게 요청해 주시면 신속히 검토하여 조치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 그만 보기]
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웹사이트는 국민의 알권리 보장을 위해 대통령기록관에서 보존·서비스하고 있는 대통령기록물입니다.
This Website is the Presidential Records maintained and serviced by the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to ensure the people's right to know.

컨텐츠바로가기

대한민국 청와대

국민청원

청원종료

웹툰 플랫폼 레진코믹스에 대한 세무조사를 부탁드립니다.

참여인원 : [ 81,315명 ]

  • 카테고리

    문화/예술/체육/언론
  • 청원시작

    2017-12-07
  • 청원마감

    2018-01-06
  • 청원인

    twitter - ***
  1. 청원시작

  2. 청원진행중

  3. 현재 상태

    청원종료

  4. 답변완료

청원내용

웹툰 플랫폼 레진코믹스에 대한 세무조사를 부탁드립니다.


존경하는 대통령님, 안녕하십니까. 저는 대학을 갓 졸업한 젊은 작가입니다. 청원게시판에 글을 쓰는 것은 다름이 아니라 웹툰(및 구 웹소설) 서비스 플랫폼 '레진코믹스' (www.lezhin.com) 에 대한 세무조사를 요청하기 위함입니다.

레진코믹스는 2013년 여러 가지 정부 지원을 받고 사업을 시작한 플랫폼입니다.

http://www.korea.kr/policy/cultureView.do?newsId=148770632&call_from=naver_news


'작가를 위한 작가주의 플랫폼'을 표방하며 여러 명의 기성, 신인 작가들을 플랫폼으로 데려갔고, 처음에는 정말로 작가들을 위하는 기업처럼 보이는 수익 구조나 건강검진 복지 시스템 등을 홍보하며 계약 작가들의 팬을 레진코믹스의 고정적 소비자층으로 굳히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자 레진코믹스는 '사업 확장'을 이유로 작가들과의 원활한 소통과 합의 없이 수익 배분 구조를 작가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바꾸었습니다. 코인 수익 배분률은 낮아졌고 작가 고료는 고료제가 아니라 MG(*미니멈 개런티)제도로 바뀌었습니다.

투명하게 공개되어야 할 정산 CMS에는 오류가 잦았고, 컨텐츠 회사임에도 총 직원 수와 사옥의 규모에 비해 컨텐츠 담당자는 터무니없이 수가 적어 제때 연락이 되지 않는 일이 많았습니다. 본래 컨텐츠 편집부에서 담당해야 하는 일들, 즉 교정이나 배너 편집 등의 일도 모두 작가가 해서 보내야 했고, 플랫폼 편집부는 단지 파일을 받아 올리는 것 이상의 일을 하지 않으면서도 '사업확장'을 해야 하니 140 ~ 180원의 코인 매출 중 작가의 몫이 50원인 것은 합당하다고 주장했습니다.

2016년부터는 더 본격적인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습니다.

레진코믹스는 작품 업로드일 이틀 전까지 자체 마감일을 지정해 놓고, 실제로 업로드 지체로 인한 손해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지각비'라는 명목으로 작가 매출의 일부를 퍼센테이지(*최대 9%)로 떼어 갔습니다.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7059 적게는 수십만원에서, 많게는 천만원대의 지각비를 낸 작가도 있다는 폭로가 SNS상에 이어지고 여론이 나빠지자 레진코믹스는 그제서야 지각비를 폐지한다는 보도를 냈습니다.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62418 그러나 즉각 폐지가 아니라 점차적 폐지로, 실제로 지각비가 폐지되는 것은 2월부터입니다. 레진코믹스는 지각비를 당장 폐지할 수 없는 이유로 계약서 수정 및 갱신에 걸리는 기간을 언급했습니다.

하지만 작가들은 이러한 이유를 믿을 수가 없습니다. 레진코믹스는 지난 2017년 8월, 진행 중이던 웹소설 서비스를 작가들과의 협의 또는 합의 없이 일방 통보로 종료해 버린 전적이 있습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360060&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불과 2개월 전에 서비스할 콘텐츠를 뽑는다며 공모전을 벌여 수상작을 발표했고, 웹소설 종료일로부터 단 몇 주 전에 독점 연재 계약을 맺은 작가도 있었습니다. 웹소설 작가진은 레진코믹스에 계약 일방 파기에 대한 사과와 보상을 요구하였으나, 제대로 된 보상을 받았다는 작가는 없고 '계약 후 연재 준비 기간이라 실질적으로 플랫폼에 업로드된 작업물이 없어 시간과 체력만 날리고 아무런 보상도 받지 못했다'는 작가들의 이야기만이 SNS상에 계속해서 제보되었습니다.

작가들은 어떻게든 이 상황을 바로잡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 왔습니다. 그러나 레진코믹스는 회사에 항의하고 회사의 잘못을 비판하는 작가들을 리스트화하여 프로모션이나 광고에서 제외하였다는 의혹을 끊임없이 제기받고 있으며, 회사 관련자가 소속 작가에 대한 악성 루머를 퍼뜨렸다는 등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악의적으로 '작가 죽이기'를 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만협에서 이 상황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상태입니다.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62956 SNS에는 레진코믹스의 '작가 죽이기'에 대한 해시태그도 돌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정적으로 제가 이 글을 쓰게 된 가장 핵심적인 이유가 된 사건은 따로 있습니다.

http://blog.naver.com/phm526/221156294140

레진코믹스에서 오랫동안 작품을 연재하셨던 한 작가님이 무려 2년간 제대로 된 해외 서비스 고료 및 정산 내역을 받지 못하셨습니다.

레진코믹스는 작품 계약 때 국내 서비스 외에도 해외 서비스에 대한 계약을 함께 진행할 것을 강요하였습니다. 해외 서비스 부분에 대한 계약을 거절할 시, 그 부분만큼 MG(최저고료)를 20~30% 차감하는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를 하면서요. 심지어 해외 서비스에 대한 이익금 분배 비율은 (작가에 따라) 분기별 정산 9:1 ~ 8:2에 달합니다. 회사가 9이고, 작가가 1입니다.

그런데 해당 작가님의 이러한 폭로 이후, 해외 서비스 고료 및 정산을 제대로 받지 못하였다는 작가들의 제보가 곳곳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레진코믹스 측은 2017년 12월 6일 '에이전시와의 정산 자료에 대한 전달이 원활하지 않았다'면서 이러한 입장 표명을 내놓았습니다.
https://t.co/J1VxyfnPG5

그런데, 상식적으로 생각하여 주십시오. 본래는 분기별로 정산해야 하는 해외 판매 수익금 또는 해외 고료에 대한 정산 내역이 2년이나 회사에 존재치 않고, 계약 작가 당사자가 원장부를 요청하여도 실제 연재 기간의 일부에 해당하는 기간만큼의 원장부를 준비하는 데 며칠씩이나 걸리는 일이 정상입니까? 작가 한 명이 대낮에 건 전화를 응대하는 데 바빠서 회사 전체의 업무가 마비되었다는 회사의 변명이 정상적으로 이해되는 내용입니까? 직원이 몇 명 안 되는 영세 사업장이라면 또 모르겠으나, 레진코믹스는 강남에 독채 사옥을 가지고 있고 백 명에 달하는 직원이 일하고 있는 국내 최대의 유료 웹툰 플랫폼입니다. 만약 회사의 해명대로 수익이 전혀 나지 않아 이익금을 줄 수 없는 상황이었다면 정산이라도 제대로 되고, 실제로 매출이 나지 않았는지 어떤지에 대한 투명한 정보 공개라도 되었어야 할 일입니다. 레진코믹스가 서비스해서 돈을 벌고 있는 그 컨텐츠들은 작가들이 하루 열 시간 이상, 다른 직업을 포기하고 휴일도 없이 일해가면서 만든 것들이니까요. 그러나 투명한 해외 고료에 대한 투명한 정산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레진코믹스는 항의하는 작가들을 '이상한 사람'으로 몰고, 연락을 피하고, '스타트업 기업'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언론 보도를 냄으로써 지금까지 레진코믹스를 물의에 오르게 한 수많은 사건들을 제대로 해결하지 않고 회피해 왔습니다. 작가들은 프리랜서이고, 조직화되어 있지 않고, 회사와 직접 맞서 싸우기에는 할 수 있는 일이 그리 많지 않습니다. 당장 고료로 생활비를 충당하면서 자신과 동료 작가들의 생계에 타격이 올 수 있어서 팬들에게 불매 요청을 하기도 어렵습니다. 우리는 보이콧을 하더라도 작품 세이브를 위해 대가 없이 노동해야 합니다.

레진코믹스는 국내에서 가장 성공적인, 최초의 유료 웹툰 플랫폼으로써 업계에 수많은 폐단과 좋지 않은 선례를 남김으로써 작가들의 처우를 나빠지게 하고, 지금은 보호받을 곳 없는 프리랜서가 대다수인 웹툰 작가들의 작품을 인질로 잡아 제대로 된 고료 지급과 고료 정산도 해주지 않고 있습니다.

적어도 레진코믹스가 '지각비' 조항으로 작가들에게 부당하게 뜯어낸 회사의 이익금 및 제대로 정산하지 않고, 당장 장부조차 투명하게 공개할 수 없는 '해외 서비스 매출'에 대한 세무조사를 진행하여 주십시오. 레진코믹스는 여러 국가 지원을 받아 문을 연 기업입니다. 문화, 예술 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나랏돈을 투자받은 기업이, 그 기업 서비스의 핵심인 컨텐츠를 제작하는 작가들에게 숨기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공개토록 하여 주십시오.

국내 웹툰 시장은 계속해서 규모가 커지고 있고, IP컨텐츠에 대한 주목도는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통령님, 좋은 이야기가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이야기를, 컨텐츠를 직접 만들고 생산하는 작가들의 처우가 개선되어야 합니다. 어시스턴트 한 명 쓸 수 없는 수준의 임금으로 살인적인 주 60 ~ 70컷 작화를 하고, 스토리를 뽑고, 플랫폼 및 에이전시와 연락을 주고받고, 본래는 편집부가 했어야 할 일(배너 편집 및 오탈자 교정)을 떠맡아 해서는 훌륭한 IP가 만들어지기 힘듭니다. 얼마 전 불법 웹툰 / 웹소설 사이트를 폐지해달라는 청원이 안타깝게도 청와대 답변에 필요한 동의자 수를 채우지 못하고 끝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대통령님께서 대한민국의 문화 산업과 예술인 처우 개선에 대한 사안에 대해 관심이 있으시다면, 지원도 지원이지만 부디 업계 내 폐단을 먼저 바로잡아 주십시오. 창작자가 기업으로부터 정당한 창작의 대가를 받고, 창작물에 대한 권리를 부당하게 잃지 않도록 엄정한 눈으로 감시하여 주십시오.

울면서 쓴 글입니다. 몇 번이고 다시 읽었으나, 부족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사람답게 살 수 있도록 해 주십시오.
국민이 물으면 정부가 답한다.
안녕하십니까?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 김창룡,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김종훈입니다.

오늘은 방송촬영 시 동물보호 대책 마련, 고양이 학대범 강력처벌 요구, 고양이 학대갤러리 폐쇄 및 재발 방지 요구 등 동물 학대와 관련된 3건의 국민청원에 대한 답변을 드립니다.

답변에 앞서 소중한 생명을 잔인하게 살해하거나 관련 영상을 인터넷에 게시하는 등 우리 사회에서 동물 학대 범죄가 근절되지 않고 있는 현실에 대해 정부는 무거운 책임감을 느낍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 최근에는 방송 제작 과정에서까지 동물 학대가 발생하여 논란이 되었습니다.

이전과 비교하여 우리 사회가 동물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많이 개선되었음에도 여전히 동물의 생명과 안전이 위협받는 현실에 대한 국민 여러분의 우려에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동물을 보호받을 권리를 가진 하나의 존엄한 생명체로서 대해 주기 위해서는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정부는 동물보호를 위한 제도적 방안을 확대하고, 기존의 제도는 사회적 흐름에 맞게 개선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먼저, 방송촬영 시 동물보호 대책 마련 요구 청원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청원인께서는 얼마 전 논란이 되었던 KBS 드라마의 말 학대 장면을 지적하시면서 방송영상 촬영 시 KBS의 동물 안전조치 가이드라인 마련, 영상제작 관련 동물복지기준 법제화 등을 요구하였습니다. 청원에는 약 20만 명의 국민께서 동의해 주셨습니다.

KBS(한국방송공사)는 논란 발생 직후, 사과 입장문을 통해 해당 사고를 생명 윤리와 동물 복지에 대한 부족한 인식이 불러온 참사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고, 제작 현장 전반에 대한 점검과 개선을 약속했습니다.

이어 2월에 ‘KBS 방송제작 가이드라인’에 동물 출연 기준을 추가하였으며, 위험한 동물 촬영 장면의 경우 최대한 CG 작업 적용, 살아 있는 동물에 인위적 해를 입하는 장면 금지 등 구체적 원칙을 담은 출연 동물 안전 보호 조항을 새롭게 신설하였습니다.

아울러 동물보호 주무 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는 영화, 드라마, 광고 등 영상 및 미디어에 출연하는 동물보호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해 방송통신위원회 등 관계 부처와 KBS, 한국방송협회, 한국PD연합회, 동물보호단체 등 전문가 20여 명이 참석하는 민관협의체를 구성해 지난 2일 첫 회의를 열었습니다.

협의체 논의와 외국 사례 분석, 연구용역 등을 통해 촬영 현장에서 고려해야 할 기본원칙과 준수사항 등이 포함된 가이드라인을 올 상반기 내에 마련할 계획입니다.

앞으로 정부는 새로 마련되는 동물보호 가이드라인이 방송 제작 현장에서 준수되고 자리잡을 수 있도록 독려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해 나가겠습니다.

또한 방송사업자 및 동물보호단체와 협력하여 영상산업 전반에서 동물 복지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고, 동물을 안전하게 촬영하는 제작환경이 조성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동물과 사람을 막론하고 생명을 보다 존중하는 사회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다음으로, 고양이 학대범 강력처벌 청원과 고양이 학대갤러리 폐쇄 및 재발 방지 요구 청원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먼저 고양이 학대범 강력처벌 요구 청원입니다. 청원인께서는 경남 창원에 있는 한 식당에서 키우던 고양이를 바닥에 내리쳐 잔인하게 죽인 사람에 대한 강력한 처벌과 함께 동물 학대 근절 대책을 요구하셨습니다. 해당 청원에는 20만여 명의 국민께서 동의해 주셨습니다.

사건이 발생한 뒤 신고를 받은 경찰은 CCTV 역추적 및 탐문을 통해 피의자를 긴급체포하였습니다. 피의자 조사를 통해 범행 사실에 대한 자백을 받았고, 피의자는 혐의가 인정되어 검찰에 불구속 송치되었습니다. 재판을 통해 동물을 잔혹하게 살해한 피의자가 강화된 동물보호법에 따라 합당한 처벌을 받게 되기를 바랍니다.

다음으로 고양이 학대갤러리 폐쇄 및 재발 방지 요구 청원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청원인께서는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익명의 이용자들이 길고양이를 포획틀에 가두어 불을 붙이는 등 학대 행위를 하고 해당 영상을 게시판에 올리는 것에 대해 관련자 수사 및 해당 게시판 폐쇄, 재발 방지 조치 등을 촉구하셨습니다. 해당 청원에 대해 22만여 명의 국민께서 동의해 주셨습니다.

작년 7월, 해당 사이트의 한 커뮤니티에서 이루어진 학대 행위에 대한 국민청원이 있었고, 해당 게시판은 폐쇄된 바 있습니다. 하지만 같은 사이트 내에서 위치를 옮겨 범죄 행위들이 다시 이루어지고 있는 것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현재 동물권 단체가 해당 갤러리의 학대 행위를 한 성명불상의 피의자와 사이트 운영자를 고발하여 수사가 진행 중입니다. 학대 행위자는 범행 도구 추정 물품의 혈흔·유전자 감식, IP 추적 등을 통해 수사가 이루어질 예정이고, 사이트 운영자의 학대 방조 혐의에 대해서도 수사가 진행 중입니다. 동물 학대와 관련된 행위들에 대해 엄정한 수사가 이뤄질 것입니다.

지난 5년 우리 사회에서 동물보호에 대한 목소리가 꾸준히 높아져 왔습니다. 국민청원을 통해 20만 동의를 넘겨 정부가 답을 한 청원도 이번을 포함해 총 14건에 달합니다.

2018년 6월 처음으로 20만 동의를 넘은 유기견 보호소 폐지 반대 청원을 시작으로 최근에는 각종 동물 학대 행위에 대한 처벌 강화와 제도 개선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도 2018년부터 농식품부에 ‘동물복지정책과’를 신설해 관련 정책을 총괄하게 했고, 각 지자체도 해당 업무 담당 인력을 꾸준히 충원해 왔습니다. 2020년에는 ‘동물복지 5개년 종합계획’을 수립해 체계적인 동물보호 및 복지정책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동물보호법」 상 동물 학대 행위의 범위를 확대하고 처벌도 높여 왔습니다. ’18년부터 반려동물에게 최소한의 사육공간 제공과 같은 의무를 다하지 않는 소위 ‘애니멀 호딩’을 학대 행위에 추가하였습니다.

또 ’18년과 ’21년, 두 차례의 개정을 통해 동물을 학대해 죽게 한 경우의 처벌조항을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서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하였습니다.

‘동물’을 ‘사람과 함께하는 동반자’로서 아끼고 존중하려는 우리 사회의 노력도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매년 공익광고를 기획·송출하고 있으며, 작년에는 일선 초등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도 개발하였습니다.

방송국 차원에서 촬영현장 동물보호 가이드라인 조항이 신설되고, 정부와 민간이 함께 기본 준수사항 논의를 시작한 것은 중요한 출발점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오늘 답변드린 ‘방송촬영 시 동물보호 대책 마련’ 요구 청원은 방송 제작 현장에서의 동물권에 대해 높아진 사회적 요구사항을 다시 확인하게 되는 계기였습니다.

우리가 만드는 영상콘텐츠가 세계인이 함께 보는 ‘K-콘텐츠’로 인기를 끄는 만큼 제작현장과 영상 표현에서 동물권이 보호되도록 계속 점검해 나가겠습니다.

동물보호 관련 법, 제도 개선을 위해 지난 5년간 꾸준히 노력해 왔지만 아직 제도와 현장에서 개선해야 할 점들이 여전히 많이 남아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동물 학대 방지 방안을 마련하여 이러한 일들이 재발되지 않도록 제도화하고, 동물보호 관련 사회적 공감대를 높여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국민청원에 참여해 주신 모든 분들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소중한 내 청원, 청와대 답변이 궁금하세요?
청와대는 '국민이 물으면 정부가 답한다'는 소통 철학을 바탕으로 대통령과 수석·보좌관의 회의, 주목받는 국민청원, 외국 언론이 본 우리 정부, 해외 순방과 그 뒷얘기, 100대 국정과제와 수많은 정책 관련 소식 등 국민이 궁금해하는 내용을 홈페이지와 SNS계정을 통해 공개하고 있습니다.

청와대 소식을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청와대 공식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튜브, 카카오 플러스친구 '를 팔로우해주십시오.
더 많은 정보와 투명하고 진솔한 소통으로 국민과 함께 하겠습니다.